<눈 먼 자들의 도시>의 메시지는 의외로 간단한 거 같다. 1. 세상을 사는 사람들은 기실 장님이다. 2. 군계일학으로 '눈 뜬 자'가 있다. 3. 그 '눈 뜬 자'를 알아보고 따르는 사람은 같이 '눈을 뜬다'.
이제, 3개의 메시지에 영화 속 장면들을 하나하나 대입시켜 보면 된다. 수학에 대입법이 있듯 나는 영화감상법에도 그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우선 '안과의사의 아내'를 보자. 모든 이가 눈이 먼 병동에서, 그녀는 오로지 유일한 '눈 뜬 자'이다. 그는 눈 먼 자들을 돌보며, 그들의 역겨운 모습들을 모두 지켜본다.
영화 속에 '원래 장님'이었던 자가 등장한다. 그는 '장님계의 왕'이다. 원래 안 보였으니 '보이는 세계'를 동경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그는 탐욕주의자다. 속물이다. 실제로 영화 속에서 그는 눈 먼 수용자들을 강탈한다.
주의깊게 보지 않았다면 쉽게 지나쳐 버렸을 부분도 있다. 바로 보건부 장관의 담화 발표 장면이다. 장관은 연설에서 어정쩡한 자세로 "나도 여러분들처럼 눈이 멀었다."라고 말한다.
우리 말로 "눈이 멀었어."라고 번역된 원어는 "I can't see."이다. 직역하면 "난 볼 수 없어."이다. 이 즈음에서 나는 아바타의 명대사를 떠올린다. "I see you." "나는 당신을 봅니다." 그러나 눈 먼 자들은 볼 수 없다. 무엇을 볼 수 없는 것일까. 우리 말 속담에 "눈 뜬 장님"이라는 표현이 있다. 눈은 떴으되 보지 못하는 멍청이를 이르는 말이다.■ ('12.2.22)
'영화의 사각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팬도럼 Pandorum 2009 (0) | 2012.07.12 |
---|---|
나는 이 영화 때문에 운명론자가 되었다 - <클래식>, 2004 (0) | 2012.07.07 |
[영화] 인도영화 시사회에 다녀오다 - <스탠리의 도시락>(아몰 굽테) (0) | 2012.03.03 |
[영화] 안팎에서 깨려는 자들! - <줄탁동시>(김경묵) (0) | 2012.02.27 |
[영화] 진짜 관계란 무엇인가? - <소셜네트워크>(2010) (0) | 2012.02.10 |